본문 바로가기
정보보호

잔존 데이터 처리

by 오라 가라 2024. 1. 8.
반응형

SSD(Solid State Disk)
SSD(Solid State Disk)

 

데이터 수명 주기 관리에서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간과되곤 하는 단계는 폐기이다. 폐기 단계에서 정보가 제대로 처분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기밀성과 가용성이 손상될 수 있다. 데이터 폐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보안 대책은 잔존 데이터의 처리이다. 잔존 데이터를 적절히 처분하지 않으면 승인 받지 않은 복구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위생 처리라고도 불리는 기법을 적용하여 복구가 불가능하도록 데이터 저장 매체를 처리할 필요가 있다.

1. 데이터 수명 주기 관리(Data Life Cycle Management)

생성(Create):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기존 데이터가 변경/갱신된다. 데이터의 보안 등급이 부여되고 접근 권한을 제한해야 한다.
② 저장(Store):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보안 등급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에 대한 적적한 수준의 접근 통제를 지정한다. 예) 암호화, 접근 통제, DRM
③ 사용(Use): 조회, 처리, 갱신 등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차원에서 데이터 접근을 모니터링하고 권한 관리를 적용한다. 예) DRM
④ 공유(Share): 내외부 사용자가 데이터에 접근한다. DRM/CMF/CMP, 암호화, 논리적 접근 통제, 응용 보안 등을 적용한다.
⑤ 아카이브(Archive): 장기 저장 시스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한다. 승인 없이 공개 또는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암호화 및 자산 관리를 적용한다.
⑥ 폐기(Dispose): 보존 기한이 지난 데이터는 보호할 가치에 따라 일반 대중에 공개하거나 복구할 수 없도록 영구적으로 위생 처리한다. 데이터를 저장, 사용, 공유, 아카이브하는 데 사용한 모든 매체에 적용되어야 할 수 있다.


2. 잔존 데이터 복구

잔존 데이터(Data Remanence): 데이터를 삭제한 후에도 저장 매체에 남아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잔상으로서 원래의 데이터를 유추하거나 복구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삭제(Delete):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운영 체제는 해당 파일을 파일 목록에서만 삭제하고 원래 저장되었던 물리적 위치를 비할당 영역(unallocated area 또는 free space)으로 분류하기만 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는 여전히 데이터가 남아 있다.
☞ 포맷(Format): 전통적인 순수한 포맷은 적용 후에도 저장 매체에 기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남아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포렌식 도구로 복구할 수 있다.
☞ 공장 초기화(Factory Reset): 공장 초기화를 하면 저장 매체에서 모든 데이터를 제거하고 기기의 각종 설정값 출시 상태로 되돌리지만, 저장 매체에 데이터가 남을 수 있다.
② 비침습적(Non-invasive) 시도: 매체 내부까지 접근하지는 않는 데이터 복구 시도
③ 침습적(Invasive) 시도: 매체 내부까지 접근하는 데이터 복구 시도



3. 데이터 위생 처리 유형

데이터 위생처리(Data Sanitization): 저장 매체를 다른 목적으로 재활용하거나 폐기하거나 외부로 반출할 때 민감한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과정이다.
☞ 포렌식 기법으로도 복구되지 않도록 이른바 안티 포렌식 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② NIST SP 800-88에서는 3가지 수준의 데이터 위생 처리 유형을 제시한다.

청소(Clear)
• 비침습적 시도를 통한 데이터 복구를 막는 것이 목표다.
•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논리적 기법(읽기·쓰기 기능)을 적용한다.
예) 덮어쓰기, 공장 초기화(모바일 기기의 경우)
• 데이터 민감도가 낮을 때 적절하며 적용 후에도 매체 재사용이 가능하다.
• 매체가 외부로 반출되지 않으며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때 적절한다.

퍼지(Purge)
• 전문 장비를 갖춘 환경에서 고도의 전문 기법(State of the art laboratory technique)을 활용하는 침습적 시도까지 막아내는 것이 목표다.
• 논리적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물리적 기법을 적용할 수도 한다.
예) 덮어쓰기, 암호학적 지우기, 블록 지우기, 디가우징, 파괴
• 데이터 민감도가 중간일 때 적용하며 매체 재사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 매체가 외부로 반출되거나 기존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없을 때 적절하다.

파괴(Destroy)
• 퍼지와 마찬가지로 전문 장비를 갖춘 환경에서 고도의 전문 기법을 활용하는 침습적 데이터 복구 시도까지 막아내는 것이 목표다.
• 퍼지와의 달리 항상 매체를 재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 온다.
• 논리적 기법은 적용되지 않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기법이 적용된다.
예) 그라인딩, 파쇄, 소각, 부식, 가열, 상 전이, 디가우징(파괴로도 간주)
• 데이터 민감도가 매우 높거나 다른 위생처리 유형이 불가능할 때 적용한다.
예) 1회 쓰기만 가능한 광학 매체(WORM), 접근이 불가능한 불량 매체
• 매체가 외부로 반출되거나 기존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없을 때 적절하다.


☞ 위생 처리의 수준은 매체에 저장되었던 데이터의 민감성에 따라 결정한다.
☞ 위생 처리는 전자 매체만이 아니라 하드 카피 매체에도 적용되는 개념이다.

반응형

'정보보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품질 관리  (0) 2024.01.09
전자 매체 위생 처리  (2) 2024.01.09
전자 증거 개시 제도  (0) 2024.01.08
데이터 수명 주기 관리  (0) 2024.01.07
데이터 보안 통제 3  (0) 2024.01.07